신뢰받는 청렴한 공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GKL의 여러 노력 중 하나입니다.
글. 성우경 사내기자 / 사진. 홍보실
# GKL 청렴시민감사관 제도

▲ 청렴시민감사관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 다양한 논의가 오간 생생한 회의 현장

# INTERVIEW
-
Q. GKL뿐만 아니라 다른 기관의 청렴시민감사관을 역임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른 기관과 비교했을 때, 우리 회사의 전반적인 청렴 수준은 어떠한가요?청렴시민감사관 대표 | 조은경“GKL은 청렴유지를 위해 상당히 노력하는 기관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길지 않은 기간이었지만 GKL에 몇 차례 제도개선을 요구했는데요. 당시 업무담당자들이 청렴시민감사관의 요구를 수용하고 부패 취약분야를 보완하고자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높은 수준의 청렴 정책을 수행하고 있는 중앙행정기관, 공직 유관단체 등의 청렴시민감사관 경험으로 비교해보아도 GKL의 청렴 노력 역시 그에 못지않습니다. 이런 노력은 2019년도 부패방지 시책평가 1등급을 달성함으로써 충분히 검증됐다고 생각합니다. 지금과 같은 노력을 유지한다면 다른 기관 어디에도 뒤쳐지지 않는 청렴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저 또한 GKL 청렴 수준 향상을 위해 2020년에도 GKL의 외부 부패 통제인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하겠습니다.”
-
Q. 청렴시민감사관 제도에 대해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상임감사 | 임찬규“현재 우리나라는 행정의 복잡성 및 전문화 경향을 보입니다. 이에 공공기관의 행정 재량권이 확대되는 동시에 자체 감사 기능과 부패방지기능에 한계가 표출되는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국민의 권익을 보호해야 할 공공기관이 오히려 그 권익을 침해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고 부패 개연성 또한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GKL 청렴시민감사관의 행정에 관한 식견과 풍부한 경험에서 나오는 참신한 제언은 GKL의 반부패•청렴 정책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실제로 2019년 한 해 동안 청렴시민감사관의 시의적절한 감사 요구와 제도개선으로 GKL이 더욱 청렴한 기관으로 한 걸음 나아갈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우리 GKL은 청렴시민감사관 제도가 회사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성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GKL 청렴시민감사관을 소개합니다
QUICK MENU(10)